본문 바로가기

사업배경

IPFS 소개

IPFS란?

IPFS는 "Inter Planetary File System"의 약자로서, 분산형 파일 시스템이다. 분산저장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인터넷으로 공유하기 위한 프로토콜(통신규약)이다. 냅스터, 토렌트(Torrent) 등 P2P 방식으로 대용량 파일과 데이터를 공유/저장하기 위해 만들어 졌다.

기존의 HTTP 방식은 데이터가 위치한 곳의 주소를 찾아가서 원하는 콘텐츠를 한꺼번에 가져오는 방식이었지만, IPFS는 데이터의 내용을 변환한 해시값*을 이용하여 전 세계 여러 컴퓨터에 분산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찾아서 분산 저장된 데이터를 가장 가까운 곳으로부터 가져오기에 속도가 빠르다.

해시테이블**은 정보를 키와 값의 쌍(key/value pairs)으로 저장하는데, 전 세계 수많은 분산화된 노드들이 해당 정보를 저장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IPFS를 사용함으로써 기존 HTTP 방식에 비해 해킹의 위험 없이 훨씬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다.
*해시값 :
다양한 길이의 데이터(키)를 일정한 길이의 데이터(값)으로 매핑(mapping)한 값으로, 특정한 배열의 인덱스, 위치, 데이터값을 이용해 저장하거나 찾을 수 있다.
**해시테이블 :
키와 값을 매핑(mapping)해 둔 데이터 자료구조

HTTP

(Hypertext Transfer Protocol)

인터넷통신규약

  • 중앙집중화 특정 기관이 데이터 독점 가능 (정보의 비대칭성)
    DDos와 같은 해킹 공격에 취약 (보안성 낮음)
    클라이언트 접속량이 많으면 서버 다운 (404 Error)
  • 불안정성 서버가 사라지면 데이터도 보존 불가능
    서버 자체에 손상 시 데이터 손실 발생 가능
    인터넷 연결 끊기면 데이터 접근 불가능
  • 비효율적 데이터 크기가 크거나 전송량이 많으면 비효율적
    서버 위치가 멀면 데이터 전송 속도가 느림
    하이퍼IDC는 규모에 비해 효율이 낮고 유지비 높음

IPFS

(Inter Planetary File System)

분산 파일 시스템

  • 탈중앙화 분산형 방식으로 모든 노드가 파일 공유 (정보의 평등)
    파일 해킹 위험 매우 낮음 (보안성 높음)
    클라이언트 접속량이 많아도 빠른 네트워크 속도 유지
  • 안정성 특정 노드가 사라져도 네트워크에 데이터 영구히 존재
    특정 서버에 손상 있어도 연결된 다른 서버에 저장돼 있음
    인터넷이 원활치 않은 지역도 빠른 IPFS네트워크 접속가능
  • 효율적 고용량 파일 빠르고 효율적 전달 가능
    서버 간 위치와 데이터 전송 속도 상관 없음
    기존 하이퍼IDC 규모에 비해 저장량이 많고 유지비 저렴

음성 바비엥 IDC실제전경

VABIEN IDC

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오태로 66, 105호
043-878-8311~3
043-878-8314
kg7park@naver.com